CS

[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+ 운영체제] - 명령어 집합 구조, CICS & RISC

yoozung 2023. 6. 11. 22:46

 

명령어 집합 : CPU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모음, CPU의 언어인 셈

명령어의 세세한 생김새, 연산, 주소 지정 방식 등은 CPU마다 다르다

(인텔 CPU 컴퓨터에서 만든 실행 파일을 그대로 아이폰에 옮겨 특별한 설정 없이 바로 실행하면 실행이 안된다. 이해할 수 있는 명령어가 아니기 때문. )

 

명령어가 달라지면 그에 대한 나비효과로 많은 것들이 달라진다.

(명령어 해석 방식, 레지스터의 종류와 개수, 파이프라이닝의 용이성 등등 )

 

 

 

명령어 집합의 두 축 : CISC & RISC

 

CISC(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)

복잡한 명령어 집합을 활용하는 컴퓨터

- x86, x86-64는 CISC 기반 명령어 집합 구조

- 명령어의 형태와 크기가 다양한 가변 길이 명령어를 활용

- 다양하고 강력한 명령어를 활용

-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명령어로도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음 

- 단점 : 명령어 파이프라이닝이 불리함

 

 

RISC(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)

- 명령어의 종류가 적고, 짧고 규격화된 명령어 사용 

- 단순하고 적은 수의 고정 길이 명령어 집합을 활용

- 시스크에 비해 비교적 짧고 규격화된 명령어를 활용하기에 명령어 파이프라이닝에 유리함 

- 메모리 접근 최소화, 레지스터 십분 활용

- 명령어의 종류 자체가 시스크에 비해 적기 때문에 더 많은 명령어를 써야 프로그램을 동작시킴

 

 

 

총정리